네이버 vs 카카오, 서로 바뀐 '콘텐츠 전략'
생태계 키우던 네이버, 공격 투자, 왓패드 이어 문피아 인수 나서
웹툰·소설 사들이던 카카오는 작가 육성 '스테이지' 출시
고교 수험생 시절부터 대학 생활까지 이야기를 친근한 그림체로 그려내 인기를 끈 웹툰 ‘대학일기’. 카카오톡 이모티콘으로도 인지도가 높은 이 작품은 네이버의 아마추어 창작 플랫폼 ‘도전만화’에서 시작해 수백만 명 독자를 거느린 인기 IP(저작권)로 거듭났다. 외모지상주의, 여신강림 등도 마찬가지다.
네이버는 캐시카우로 자리잡은 웹툰 등 콘텐츠 시장에서 창작자들이 ‘뛰어놀 수 있는’ 플랫폼을 키우며 IP 유통에 집중했다. 경쟁사 카카오는 웹툰, 웹소설 기업을 직접 인수하며 IP 확보에 주력했다. 25일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카카오는 IP 확보 전략에 그동안 1조5000억원을 투입했다. 그랬던 양사가 최근 전략을 맞바꾼 모양새다. 네이버는 올초부터 기업 인수에 공들이고 있고, 카카오는 플랫폼 육성에 나섰다.
세계로 뻗어간 네이버 ‘도전만화’
네이버의 ‘도전만화’는 누구나 자신이 창작한 웹툰을 올릴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인기를 끌면 네이버웹툰 플랫폼에 정식 연재를 하게 된다. 생태계를 구축해놓으면 양질의 IP는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는 전략이다. 2014년엔 도전만화 글로벌판 ‘캔버스’를 출시했다. 캔버스를 통해 미국에서만 IP 10만여 개가 만들어졌다. 현재 글로벌 아마추어 창작자 70만 명이 네이버 웹툰 생태계에서 다양한 작품을 연재하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기존 콘텐츠 생성 시스템은 에디터, 프로듀서의 선택을 받아야 데뷔할 수 있었다”며 “네이버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에 추천 시스템을 고도화해 인기 IP를 확장했다”고 말했다.
네이버로 창작자들이 쏠리자 카카오는 기업을 직접 인수하며 이에 대응하려 했다. 2017년 웹툰 제작사 디앤씨미디어에 지분 투자를 했다. 2018년엔 인도네시아 1위 웹툰 업체 네오바자르 경영권을 인수했고, 지난해엔 웹툰 제작사 투유드림 지분을 인수했다. 최근엔 글로벌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와 웹툰 플랫폼 타파스 경영권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각자 전략 모방 나서
결과는 상이했다. 네이버 웹툰, 웹소설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IP는 이달 누적 기준 130만 개에 달한다. 네이버가 보유하고 있는 IP와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IP를 합산한 수치로, 대부분 유통 IP로 추정된다. 반면 카카오는 직접 보유한 IP가 8500개다.
장민지 경북대 교수는 “네이버는 최대한 많은 IP와 접점을 마련하는 전략을 썼고, 카카오는 IP 제작사 및 플랫폼을 아예 사버리는 전략을 썼다”며 “이제 막 팽창하는 IP비즈니스에서 어느 전략이 성공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엔 서로의 전략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네이버는 올초부터 기업 인수에 나섰다. 지난 1월 6500억원을 들여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했고, 2월 웹툰 플랫폼 태피툰을 운영하는 콘텐츠퍼스트에 334억원을 투자했다. 현재는 국내 웹소설 플랫폼 문피아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반면 카카오는 아마추어 작가 육성 플랫폼 ‘카카오페이지 스테이지’를 출시한다고 이달 밝혔다.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는 “각자 부족한 부분을 메우기 위한 보완책”이라며 “스위트홈과 승리호의 흥행에 양사는 IP비즈니스에 더 힘을 쏟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 웹툰 스위트홈은 드라마로 제작돼 넷플릭스가 서비스되는 8개국에서 시청률 1위를 차지했다. 카카오페이지의 웹툰 승리호로 만든 영화는 지난 2월 넷플릭스 영화 전체 순위 1위에 올랐다.
📊 기사 내용의 객관적 수치
-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카카오는 IP 확보 전략에 그동안 1조5000억원을 투입했다.
- 네이버의 도전만화 글로벌판 '캔버스'를 통해 미국에서만 IP 10만여 개가 만들어졌다. 현재 글로벌 아마추어 창작자 70만 명이 네이버 웹툰 생태계에서 다양한 작품을 연재하고 있다.
- 네이버 웹툰, 웹소설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IP는 이달 누적 기준 130만 개에 달한다.
- 카카오는 직접 보유한 IP가 8500개다.
- 네이버는 6500억원을 들여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했고, 2월 웹툰 플랫폼 태피툰을 운영하는 콘텐츠퍼스트에 334억원을 투자했다.
🔎 추가 조사 내용
1. 네이버 콘텐츠 현황
1) 국내외 기업들과의 전략적 투자 및 협업 진행
- 국내외 타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지식재산권(IP)을 확보하고 확보한 IP를 영상 콘텐츠화로 제작하고 유통한다는 계획
- 네이버는 웹툰과 웹소설을 중심으로 영상, 팬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를 공략하고 있음
- 국내 엔터테인먼트 분야를 강화하기 위해 네이버는 CJ그룹과 협업을 맺음
- 지난해 10월 네이버는 CJ그룹과 6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교환하는 상호 지분투자 계약을 체결
- 네이버는 CJ엔터테인먼트, CJ대한통운의 3대 주주, 제작사인 스튜디오드래곤의 2대 주주에 올라섬
- 이로 인해 네이버는 웹툰‧웹소설에서 확보한 IP를 영상으로 제작하는 데 CJ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CJ도 네이버와 함께 제작한 콘텐츠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티빙에 선보일 수 있게 됨. 향후 글로벌 진출에도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음
-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사업 강화 일환으로 네이버는 하이브엔터테인먼트(빅히트)와도 협력을 진행
- K팝이 글로벌 시장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자 네이버는 ‘브이라이브’와 ‘위버스’를 통합한 새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을 출시하겠다고 밝힘
2) 웹툰과 웹소설 IP를 활용한 영상화 작품도 선보일 계획
- 지난해 버티고 엔터테인먼트, 바운드 엔터테인먼트 등 국내외 영상 제작 스튜디오 3곳과 파트너십을 맺음
- 지난 1월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올해 IP를 활용한 2차 창작물을 제작하겠다”고 밝힌 바 있음
- 네이버는 웹툰·웹소설을 활용해 영화·드라마로 50~60편을 선보일 예정
3) 웹툰에 AI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 슈퍼 지식재산권(IP)을 키우겠다는 계획
- 네이버는 창작의 허들을 낮춰 슈퍼 IP를 발굴하고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면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구상
-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는 "스토리텔링 콘텐츠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다양성"이라면서 "창작의 허들을 낮춤으로써 작품의 다양성은 더욱 커질 것이며, 다양한 작품 속에서 보석 같은 슈퍼 IP를 찾아 선보이는 게 목표"라고 전함
- "창작의 허들이 낮아질수록 엄청난 슈퍼 IP가 등장하는데 만화는 그림을 그려야 하는 허들이 남아 있다"면서 "앞으로 아이디어만 있다면 누구나 이미지형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AI 기술 등을 기반으로 한 ‘오토드로잉(Auto Drawing)’을 포함해 다양한 제작 도구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함
4) 글로벌 콘텐츠 사업에 총력
- 한성숙 대표는 “지금까지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검색과 서비스가 중심이었지만 최근 글로벌 Z세대는 웹툰과 왓패드처럼 디지털 기반으로 새롭게 나타난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다”며 “IP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비즈니스는 더욱 활발해질 것이고 커머스와의 결합 등 매우 많은 부분에서 성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는 갈수록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함
2. 카카오 콘텐츠 현황
1) DC코믹스 작품, 카카오페이지에서 서비스 예정
- 이번 협력을 통해 DC코믹스는 기존 만화책의 웹툰화 전환 가능성을 타진하고, 카카오엔터는 DC코믹스 팬 확보와 북미 웹툰시장 경쟁력 확보를 노림
- 카카오엔터 관계자는 "한국이 웹툰 종주국이긴 하지만, 출판 만화를 웹툰으로 전환하는 노하우를 가진 곳은 많지 않다"며 "DC가 카카오의 '기다무'(기다리면 무료) 등 비지니스 모델에도 관심이 높았다"고 말함
- 카카오엔터는 이번 DC 웹툰을 통해 국내 DC팬의 카카오페이지 유입을 기대하고 있음
- 만화책 구하기가 쉽지 않고 언어장벽도 불편했던 DC팬들을 이참에 카카오페이지에 붙들겠단 계획
- 장기적으론 카카오엔터의 북미 진출에도 도움될 것으로 봄
- DC코믹스 작품을 웹툰으로 전환하며 쌓인 경험과 인맥 등 유·무형의 자산을 북미 진출 발판으로 활용하겠다는 전략
- 북미는 카카오엔터가 최근 투자를 확대하는 시장
- 북미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와 웹툰 플랫폼 '타파스' 인수를 추진 중
- 카카오엔터가 지분 40.4%를 보유한 타파스미디어 편집장이 DC코믹스 출신이란 점도 카카오엔터로선 반가운 조건
- DC코믹스의 모회사인 워너브라더스와 카카오엔터의 영상 분야 협력 가능성도 열려 있음
- DC코믹스와 추가 협력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이에 대해 카카오엔터 측은 "이번에 공개할 4종 외에 추가로 선보일 DC코믹스 작품은 없다"고 했음
- 오히려 DC코믹스가 한국에서 웹툰 제작·유통 노하우를 배워, 북미에서 카카오·네이버의 경쟁자가 될 가능성도 있음
- 실제로 DC코믹스 측은 카카오엔터가 제작한 웹툰 4종의 유통 지역을 한국으로 제한
- 제작 난이도가 가장 높았던 세로형 스크롤 전환이 해결됐고 번역 검수도 끝났지만, 북미 시장 등 한국 이외 지역 웹툰 판권은 DC가 보유했기 때문
- 업계 관계자는 "DC도 자체 모바일 플랫폼을 보유 중인 만큼 북미에선 자체적으로 웹툰 서비스를 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함
2) 공격적인 인수·합병(M&A) 전략으로 몸집을 키우는 중
- 카카오는 글로벌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북미 웹툰 플랫폼 타파스미디어의 지분 인수를 추진 중. 모두 단순 지분 확보 수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경영권 확보가 목적
- 카카오는 카카오재팬이 운영하는 일본 1위 웹툰·웹소설 플랫폼 ‘픽코마’에 국산 콘텐츠를 공급하고, 일본 최대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카도카와의 지분 7.63%를 보유하는 등 일본 콘텐츠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
- 이진수 카카오엔터 대표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카카오엔터의 목표는 모든 언어로 모든 나라에 웹툰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라며 “올해에만 1조 원을 들여 국내외 자산을 사들일 계획”이라고 밝혔음
👀 적용할 점
1. 네이버에서 IP로 사업 경쟁력을 확장하며 2차 창작물을 제작 추진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비즈니스 모델에서 가장 주안점을 두는 것이 IP의 확보인데, 콘텐츠(웹툰, 웹소설)의 결정은 어떤 식으로 진행되나요?
✍️ 요약 및 정리
1. 네이버는 캐시카우로 자리잡은 웹툰 등 콘텐츠 시장에서 창작자들이 ‘뛰어놀 수 있는’ 플랫폼을 키우며 IP 유통에 집중했다.
- 네이버의 ‘도전만화’는 누구나 자신이 창작한 웹툰을 올릴 수 있는 플랫폼이다.
- 2014년엔 도전만화 글로벌판 ‘캔버스’를 출시했다.
- 네이버 웹툰, 웹소설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IP는 이달 누적 기준 130만 개에 달한다.
2. 카카오는 웹툰, 웹소설 기업을 직접 인수하며 IP 확보에 주력했다.
- 2017년 웹툰 제작사 디앤씨미디어에 지분 투자를 했다.
- 2018년엔 인도네시아 1위 웹툰 업체 네오바자르 경영권을 인수했고, 지난해엔 웹툰 제작사 투유드림 지분을 인수했다.
- 최근엔 글로벌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와 웹툰 플랫폼 타파스 경영권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3. 최근 양사가 전략을 맞바꾼 모양새로, 네이버는 올초부터 기업 인수에 공들이고 있고, 카카오는 플랫폼 육성에 나섰다.
- 네이버는1월 6500억원을 들여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했고, 2월 웹툰 플랫폼 태피툰을 운영하는 콘텐츠퍼스트에 334억원을 투자했다.
- 카카오는 아마추어 작가 육성 플랫폼 ‘카카오페이지 스테이지’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 참고자료
[팩플] 카카오에 “배트맨 웹툰 좀…” 부탁한 DC코믹스의 계산
전방위 투자 나선 네이버...“슈퍼 IP로 글로벌 기업 도약”
네이버·카카오, 3년간 스타트업에 5천억·1천억 투자…이제 글로벌 투자로
'탐구일기 >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병헌에게 연기 배워볼까"…'딥택트' 교육 플랫폼이 뜬다 - 머니투데이 (2021.04.27) (0) | 2021.04.27 |
---|---|
저커버그, 페북에 클럽하우스 감성 입힌다…"오디오 투자" - 한국경제 (2021.04.20) (0) | 2021.04.26 |
코로나 확산에…IT 스타트업 '폭풍성장' - 한국경제 (2021.04.23) (0) | 2021.04.23 |
넷플릭스 신규가입 1분기 75%↓…봉쇄 풀리니 '구독 경제' 끝? - 한국경제 (2021.04.22) (0) | 2021.04.22 |
"장애인도 원하는 콘텐츠 즐기게…AI기술로 눈과 귀 열어요" - 매일경제 (2021.04.21) (0) |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