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유생활/책

미래에 대한 꼬리를 무는 생각들, 10년 후 세계사 두 번째 미래 - 구정은, 이지선

728x90

 

 

1. 어릴 적 미술 시간이 문득 떠올랐다. “미래의 모습”이라는 주제로 그림을 그리게 했던 수업 시간에서, 다양한 미래의 모습을 그렸었다.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친구가 그린 모습들은 과학의 발전과 행복한 사람들이었다. 날아다니는 자동차, 하늘 위 또는 바닷속에 건설된 도시, 로봇으로 대체된 수많은 업무 등 기술의 발전으로 풍요로워진 인간의 삶을 상상했다. 하지만 요즘 기술의 발전이 많은 사람을 행복하게 할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들었다. 다수의 행복이 아니라, 소수만을 위한 행복일지도 모를 거라는 생각.

 

 어쩌면 내가 접했던 콘텐츠들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디스토피아를 그려낸 영화 “승리호”는 엄청난 부익부와 빈익빈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미래라는 게 그리 아름답지 않았다. 소수의 부자와 다수의 가난한 자들. 지구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위로 올라갈 사다리도 존재하지 않는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얼터드 카본”에서의 모습도 그랬다. 인간의 의식이 디지털 장치에 보관할 수 있게 되면서, 소수의 부자는 그야말로 신이 되었다. 영원불멸의 존재 말이다. 그들은 죽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육체로 갈아탔고, 삶의 무료함에 타인의 생명을 짓밟는 데 주저함이 없었다.

 

 미래는 누군가에게는 황금빛 미래로, 누군가에게는 회색빛 미래로 여겨질 것이다. 이 책과 내가 봤던 콘텐츠들을 되새기며, 좀 더 많은 사람이 긍정적인 미래로 상상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된다.

 

 

2. “우리는 모두 어딘가에서 이방인이다.”라는 말은 알고 있으면서도, 나의 지독한 선입견에 퇴색된 문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얼마 전 친구를 만나 대화를 하는 중에, 벚꽃 구경을 다녀온 얘기가 나왔다. 친구의 집은 근처에 벚꽃 산책로가 있어 멀리 안 나가도 된다고 했다. 봄이면 인근 주민들과 근처 기숙사에 사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구경하며 사진을 찍더라며, 벚꽃이 만개하면 그 길이 북적인다고 하였다.

 

 하지만 내가 제일 처음 한 말은 외국인 노동자들이 위험하지 않겠냐는 것이었다. 그 말을 내뱉자마자 나 자신이 너무 부끄러웠다. 그들은 성실하게 일하는 노동자이자 단지 봄을 만끽하고 싶은 한 사람으로 받아들여야 하는데, 나와는 다르다는 이유가 근거 없는 경계심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나의 알량한 선입견이 너무 부끄러웠다.

 

 나나 내 지인들이 외국에서 겪은 차별에 대해서는 불합리하다고 욕하면서, 내가 생각했던 차별은 무엇이란 말인가. 정책, 제도를 논하기 전에, 나의 관점과 행동이 불평등하지 않았냐고 고심하게 되었다. “노동자를 불렀는데 사람이 왔다.”라는 문장을 간직하고 싶다. 나의 시선이 다른 사람에게 차별이 되지 않길 오늘도 명심하도록 하자.

 

 

 

 

 

- 2022. 04. 21

 

 

 

 

 

728x90
반응형